#2024 #식품외식산업전망대회 #트렌드 안녕~? 오늘도 좋은 하루 보냈어? 갑자기 날이 추워지고 비가 오는 요즘이었던 것 같아.
이번주를 끝으로 이제 정말 12월을 맞이하는 때가 왔네. 2023도 이제 끝이 얼마 안 남았어!!! 나는 연말에 기대되는 일들이 참 많아! 은 어때? 🙄 뭐..시간 여유 있음 방명록 남겨주고~~~ㅎㅎㅎㅎㅋㅋㅋ
거두절미하고 ! 오늘 글 소개할게! 연말에는 각종 시상식과 발표들이 많은데 외식에 관심 있는 사람이라면 기대하고 기다렸을 '2024 식품외식산업 전망대회'‼️ 를 분식zip에서 간단 요약 zip 소개할게~🤭 |
|
|
출처 : 2024 식품외식산업 전망대회_1일차 자료집 |
|
|
먼저 1일차는 식품을 주제로 한 다양한 연구들과 키워드를 기반으로 산업의 방향을 엿볼 수 있었어. 그 중, 가장 중요한 것은 내년 트렌드 아니겠어? 트렌드부터 보고 나머지 키워드들도 간략하게 짚어보자!🤭 |
|
|
1. 식품 트렌드 핵심 : 문정훈 교수 푸드트렌드 2024 |
|
|
- 한국인의 일상식 : 무엇을 덜, 무엇을 더 어떻게 먹을까?
- 간편식 시장의 새로운 흐름 : Health & Wellness 푸드 라이프스타일
- 대체소재 면류 시장의 성장 : 저칼로리, 고단백, 고식이섬유
- 내식/외식에서 탄수화물 및 당 섭취
- 더 마시는 한국인들 : 40~50여성이 이끄는 음료 시장
- 부진한 주류 시장 속 틈새 : 고도주, 오크향, 탄산의 조합
- 수도권 40~50 주부 장바구니 속 신선식품 : 최강 구매력 세그먼트
|
|
|
- 한국인의 일상식 : 무엇을 덜, 무엇을 더 어떻게 먹을까?
|
|
|
1. 한국인이 자주 먹는 일상식 메뉴(Top20)은 코로나 19를 거치며 상이한 모습으로 섭취 증감이 나타남
- 밥/국류 : 덮밥류 증가, 일식 덮밥 비중 증가 뚜렷
- 밥/김밥 : 소폭 증가, 비빔밥/볶음밥/국탕류/찌개류 : 감소
- 빵류 : 섭취 증가, 샐러드 : 증가
- 구이류 : 육류 증가, 생선 감소
- 섭취방볍 : 간편식, 배달 및 테이크 아웃 중심으로 증가 관측 |
|
|
2. 문화권별 일상식의 변화 : 한식의 꾸준한 감소, 큰 변화 없는 중식, 양식 점진적 증가, 일식 빠른 성장
- 한식의 감소세에도 증가하고 있는 메뉴는 비빔국수, 볶음라면류, 국물이 빨간 국탕찌개류, 육류/육가공 구이류
- 일식은 면류, 초밥, 까스류, 어묵탕 메뉴 증가
- 양식은 빵류, 파스타, 샐럳, 수프 메뉴 증가 |
|
|
3. 코로나19가 야기한 대한민국 식사 개념의 변화 "먹는 대신 마시거나 굶는다"
- 팬데믹 이후 아침식사를 거르거나 음료로만 아침을 해결하는 현상 강화
- 아침 대용 음료로 커피 비중이 높으며, 연령이 낮을수록 아메리카노, 높을수록 라떼 섭취
- 점심은 끼니를 챙겨 먹는 빈도가 가장 높으며 편의점에서 간단하게 해결하는 빈도가 늘어나고 있음
- 저녁의 경우 집, 여행 등 상황, 직장에서 먹는 일상적 식사를 제외한 모임의 빈도가 증가 |
|
|
- 간편식 시장의 새로운 흐름 : Health&Wellness 푸드라이프스타일
|
|
|
1. 일상식으로 간편하게 소비할 수 있는 H&W 간편식 시장의 틈새 성장 기대
2. 고령층, 운동 고관여층 등을 타겟한 단백질 강화 및 비타민/미네랄 강화 H&W 간편식 신제품 출시 증가
3. 다양한 소재를 활용하여 칼로리 및 지방을 저감하되 영양 밸런스는 갖춘 H&W 간편식 신제품 출시 증가
4. 해수산물 중심의 지속가능한 식재료 인증 클레임에 대한 관심 증가 및 지속가능 패키지를 활용한 제품의 출시 증가 추세
5. 2030 남성은 단백질/비타민/식이섬유 강화, 20대 여성은 탄수화물/칼로리 저감, 40~60대는 자연 클레임에 대한 선호가 높음. |
|
|
- 대체소재 면류 시장의 성장 : 저칼로리, 고단백, 고식이섬유
|
|
|
1. 헬시플레저 소비자들이 이끄는 대체소재 면류 시장
2. 대체면 소재별(콩면/두부면, 기타곡류면, 해조류면, 동물성면) 신제품들이 증가
- 콩 소재의 콩 파스타는 25년까지 24억 달러 글로벌 시장 규모로 성장할 것으로 예측
- 국내 : 콩면/두부면 중심 1세대(넓적한 면), 2세대(동그란 형태의 면)이 출시되고 관심 받고 있음
- 곡류면 : 메밀과 퀴노아 제품 중심으로 시장 전개
- 해조류면 : 뚜렷한 저칼로리 특성, 아시아 국가에서 주로 제품 출시
- 동물성면 : 어육, 닭고기, 계란, 새우 등을 이용한 면으로 제품이 다양하지는 않으나 '고단백'의 특성을 가지고 있음.
|
|
|
3. 국내 주요 대체소재 면류 제품은 세 가지 타입 존재
- 1)두껍고 거친 면 : 면에 소스 발림성이 좋아 다양한 소스와의 합이 좋음.(CJ 프로틴생면)
- 2)중간 정도의 두께와 거침을 가진 면 : 기존의 소면 제품과 유사하여 이질성이 적어 한식류와 잘 어울림(샘표 고단백 소면)
- 3)얇고 실키한 면 : 따뜻한 국물이 있는 요리류와 조합이 좋음(청정원 콩담백면, 풀무원 식물성 지구식단 두유면) |
|
|
1. 소비자 : 저탄 추구 현상 속에서 탄수화물 및 당의 지위 약화
- 국민의 1인당 1일 탄수화물 섭취량은 1988년 이래로, 당 섭취량은 2016년 이래로 꾸준히 감소
- 탄수화물은 여성, 당은 남성에서 감소추이가 더 가파르게 나타나며 20-30대인 저연령대의 감소가 더욱 뚜렷하게 나타남
- 탄수화물 주요 급원식품, 당류 주요 급원슥품에 변과 존재
2. 밥류/서류->면류/빵류/과자류로 소비자의 탄수화물 소매 구매 이동
3. 면류와 빵류 외식매출의 회복 추이 뚜렷한 증가
4. 과자류를 중심으로 한국인의 간식 섭취 증가
- 모든 과자류 섭취 증가, 초콜릿류와 한식도 증가
- 푸딩 및 껌 감소, 젤리, 사탕/카라멜, 아이스크림, 빙수는 섭취 횟수 유지 |
|
|
- 더 마시는 한국인들 : 40~50 여성이 이끄는 음료 시장
1. 2030 여성 : 디카페인 커피, 제로 탄산음료 섭취 증가 트렌드 따라가며 기존 섭취형태 유지
2. 4050 여성 : 음료 섭취 핵심 소비층, 관여도 높으며 전반적으로 섭취를 늘리고 있음
3. 2030 남성 : 탄산감 있는 음료, 건강 관련 음료의 핵심 소비층으로 부상
4. 4050 남성 : 음료 섭취빈도가 낮으며 음료에 대한 흥미 및 관여도 낮음 |
|
|
- 부진한 주류 시장 속 틈새 : 고도주, 오크향, 탄산의 조합
- 하이볼 문화 확산으로 위스키 시장 빠른 성장, 2030여성 중심 섭취 급증
- 위스키 열풍으로 고도주 찾는 소비자 급증 -> 고량주, 데킬라 주종 수입 증가
- 하이볼 판매 점포 수 및 점포당 매출 빠르게 성장, 편의점의 RTD 하이볼 구매 증가
- 믹솔로지 트렌드 확산
- 오크통 숙성 증류식 소주는 그렇지 않은 것 대비 프리미엄 가격 지불의향이 나타남 |
|
|
- 수도권 40~50 주부 장바구니 속 신선식품 : 대한민국 최강 구매력 세그먼트
|
|
|
1. 코로나19 이후 신선식품 온라인 구매 증가세
2. 친환경, 동물복지, 지리적표시, 저탄소 등의 인증표시 신선식품 구매 증가세
3. 축산물 단백질 섭취원 : 구이류 소고기, 부분육 닭고기, 김장기간 동안 조리용 돼지고기
4. 곡물류/서류 탄수화물 섭취원 : 코로나19의 일시적 내식효과 후 감소 추세
5. 신선식품의 탈 일상재화 : 신선식품에서 다양성과 취향 중시하기 시작 |
|
|
식품의 트렌드를 익혔다면 ! 외식 산업의 트렌드는 어떨까? |
|
|
1. 외식형태 : N극화 취향시대 고물가 생존시대, 편외족, 가성비 프리미엄, MIni&Big, 선택적 수용
2. 메뉴 : Healthy&Easy 건강식의 확대, 경계없는 간편식, 라인업 늘리는 대체식
3. 소비감성&마케팅 : 스토리 탐닉 경험 스펙트럼의 확장, 팝업 다이닝, Since
4. 경영 : 다각화&다변화 푸드테크 확장, 배달시장 생존경쟁, 인력 블랙홀, 급식의 외식화, Re-전략 |
|
|
- 2024 키워드 : 양극화/인증샷/푸드테크/RMR
|
|
|
식품/외식에서도 비슷한 트렌드와 핵심 소구점들이 보이는 것 같아. 아마 외식업에 있었거나 관심이 많은 사람이라면 몸으로 느꼈을 것 같아. 또 가시화 해서 자료를 보니 내가 느낀 것을 더 논리적으로 설명할 수 있게 된 것 같지 않아? 이래서 현장직원과의 소통이 중요하다고 강조하는 것 같아! 현장직원은 그 현장 속에 있어서 더 잘 느낄 수 있으니까 ㅎㅎ 오늘의 글 조금은 재미없을 수도 있고 길었을 수도 있지만, 갑자기 트렌드가 궁금해질 때 간단하게 보러오는 글이 되었으면 좋겠다! 맛있는 저녁 먹어😋🍽️ |
|
|
다양한 트렌드 중 우리는 문정훈 교수님의 식품트렌드 2024를 보며 토론을 했어! |
|
|
2024 식품외식산업 전망대회의 전 내용을 보고 싶다면? |
|
|
|